철원읍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원읍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에 속하는 읍이다. 추가령지구대의 저지대에 위치하여 군사·교통의 요충지였으며, 경원선 철원역과 금강산선 개통으로 교통의 중심지였다. 일제강점기에는 강원도 제1의 상업지였으며, 한국전쟁으로 시가지가 폐허가 된 후 현재는 화지리를 중심으로 동송읍 이평리와 함께 도심을 이룬다. 15개의 법정리와 1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원읍사무소는 화지리에 위치한다. 주요 기관으로는 철원읍사무소, 교육기관, 의료기관 등이 있으며, 백마고지역이 위치해 있다. 구시가지의 근대문화유산으로 철원 노동당사, 구 철원 제일교회 등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최서단에 위치하며, 과거 경기도 삭녕군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남)의 행정 구역 - 갈말읍
갈말읍은 강원도 철원군에 속하며, 한국 전쟁 정전협정으로 수복되었고,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신철원리 등 1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신철원 지역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철원군 (남)의 행정 구역 - 철원군 (대한민국)
철원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한국 전쟁 이후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철의 삼각지대로 불렸던 군사적 요충지이고, 비옥한 철원분지를 중심으로 쌀 생산량이 많으며 한탄강, 고석정 등 관광 명소가 있는 4읍 7면으로 이루어진 일부 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 1931년 설치 - 조치원읍
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지명은 '조천'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1917년 조치원면으로 지정, 1931년 읍으로 승격,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고, 경부선 철도와 국도 제1호선이 지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1931년 설치 - 강경읍
강경읍은 충청남도 논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금강 수운 교통의 요지로 발전하여 번성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쇠퇴했고, 현재는 논산시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 강경젓갈로 유명하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정선읍
정선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읍으로, 국도와 철도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메밀, 황기, 옥수수 등의 특산물이 있고, 조양강이 읍 중앙부를 흐르며, 정선군청 등 다양한 행정 기관이 위치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평창읍
평창읍은 강원도 평창군의 행정 중심지로, 태백산맥 서쪽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평창강이 흐르고, 담배, 견직물, 꿀 생산과 월정사 등의 문화재 및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서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철원읍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자 표기 | 鐵原邑 |
영문 표기 | Cheorwon-eup |
읍사무소 | 철원읍 금학로279번길 15-1 (화지리 45-5) |
홈페이지 | 철원읍사무소 |
지리 | |
면적 | 99.77 |
인구 통계 | |
세대 | 2,453 |
세대 조사 | 2019년 12월 31일 |
인구 | 5,247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행정 구역 | |
법정리 | 15 |
행정리 | 15 |
반 | 78 |
행정 | |
광역시도 | 강원특별자치도 |
시군구 | 철원군 |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2. 3. 한국전쟁과 그 이후
철원읍은 추가령지구대의 저지대를 차지하여 예로부터 군사, 교통상의 요충지였다.[1] 1914년 개통한 경원선의 철원역이 주요 역으로 성장하였고, 금강산선이 개통한 후에는 더욱 중요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1] 평야 지대로 농산물의 생산이 많고 우시장 및 백화시장으로도 유명하여 일제강점기에는 강원도 제1의 상업지였다.[1] 1945년 9월부터 이듬해 9월 5일 원산시로 이전할 때까지 1년 동안 북강원도의 도 인민위원회가 이곳에 있었다.[1]한국전쟁으로 기존 시가지(외촌리, 사요리)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고, 외촌리와 사요리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포함되었다.[1] 군청도 갈말읍 신철원리로 옮겨가 그 일대(신철원리, 지포리)가 신철원(新鐵原)이라 불리며 철원군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1] 현재 철원읍의 중심은 화지리로, 동송읍사무소가 위치한 동송읍 이평리와 실상 하나의 도심을 이루고 있다.[1]
이 지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최서단'''에 위치한 행정구역이다.
과거 경기도 삭녕군이 둘로 나뉘어 하나는 철원군에, 다른 하나는 경기도 연천군에 각각 편입되었다. 하지만 남북 분단으로 인해 철원군에 속한 옛 삭녕군은 오직 독검리만 수복된 상태이다. 38선이 정해졌을 당시에는 옛 삭녕군이 모두 38선 이북에 있어서 미수복 상태였으나, 한국전쟁 당시 독검리 등 삭녕군의 일부를 수복했다.
3. 행정 구역
철원읍은 15개의 법정리와 1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2] 읍사무소는 화지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 읍사무소는 관전리에 있었다.
구분 |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2] | 비고 | 지도 |
---|---|---|---|---|---|
A | 관전리 | 官田里 | 관전리 | 옛 읍사무소 소재지 | ![]() |
B | 중리 | 中里 | 관전리/월하리 | ||
C | 월하리 | 月下里 | 월하리 | ||
D | 화지리 | 花地里 | 화지1리, 화지2리, 화지3리, 화지4리, 화지5리, 화지6리, 화지7리, 화지8리, 화지9리, 화지10리, 화지11리 | 읍사무소 소재지 | |
E | 율이리 | 栗梨里 | - | 주민 거주[3] | |
F | 사요리 | 四要里 | - | 옛 철원군청 소재지 거주 인구 없음 | |
G | 외촌리 | 外村里 | - | 거주 인구 없음 | |
H | 내포리 | 內浦里 | - | ||
1 | 홍원리 | 洪元里 | - | 궁예도성 소재지 거주 인구 없음 | |
2 | 유정리 | 楡井里 | - | ||
3 | 산명리 | 山明里 | - | 거주 인구 없음 | |
4 | 가단리 | 加丹里 | - | ||
5 | 중세리 | 中細里 | - | 옛 묘장면사무소 소재지 거주 인구 없음 | |
6 | 대마리 | 大馬里 | 대마1리, 대마2리 | 백마고지역 소재지 | |
7 | 독검리 | 篤檢里 | - | 옛 삭녕군 거주 인구 없음 |
본래 철원읍 지역은 관전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율이리, 사요리, 외촌리, 내포리의 8개 리였다. 이후 북면에서 홍원리, 유정리 2개 리가, 묘장면에서 산명리, 가단리, 중세리, 대마리 4개 리가, 내문면에서 독검리 1개 리가 편입되었다.[2] 특히 대마리는 백마고지역이 소재하고 있으며, 대마1리와 대마2리의 행정리로 구성된다.
4. 주요 기관
4. 1. 관공서
철원읍에는 철원읍사무소, 철원경찰서 동송지구대 관전치안센터, 철원농협 본점과 철원농협 천왕지소, 구철원우체국, 국민은행 동송지점, 새철원신협 동송지점, 철원소방서 동송지역대가 있다.4. 2. 교육 기관
철원읍에는 교육 기관으로 철원고등학교, 철원중학교, 철원초등학교, 묘장초등학교 등이 있다.4. 3. 의료 기관
철원동송통합보건지소와 대마보건지소 등이 있다.5. 교통
6. 문화재
구시가지의 여러 건물은 근대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철원 노동당사, 구 철원 제일교회 등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철원근대문화유적센터가 건립되어 있다.
7. 기타
철원읍은 지형적으로 추가령지구대의 저지대를 차지하여 예로부터 군사, 교통상의 요충지였다.[1] 1914년 개통한 경원선의 철원역이 주요 역으로 성장하였고, 금강산선이 개통한 후에는 더욱 중요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1] 평야 지대로 농산물의 생산이 많고 우시장 및 백화시장으로도 유명하여 일제강점기에는 강원도 제1의 상업지였다.[1] 1945년 9월부터 이듬해 9월 5일 원산시로 이전할 때까지 1년 동안 북강원도의 도 인민위원회가 이곳에 있었다.[1]
원 시가지는 외촌리, 사요리를 중심으로 하였으나 한국전쟁으로 완전히 폐허가 되었고, 외촌리와 사요리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포함되었다.[1] 현재 철원읍의 중심은 화지리로, 동송읍사무소가 위치한 동송읍 이평리와 실상 하나의 도심을 이루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최서단에 위치한 행정구역이다.
과거에 존재했던 경기도 삭녕군이 둘로 나뉘어 하나는 철원군에, 다른 하나는 경기도 연천군에 각각 편입되었다. 남북 분단으로 인해 철원군에 속한 옛 삭녕군은 오직 독검리만 수복된 상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강원도의 행정구역
https://terms.naver.[...]
북한지리정보
2017-06-25
[2]
웹사이트
철원읍 - 마을소개
http://cheorwon.cwg.[...]
철원군 홈페이지
2016-03-09
[3]
웹사이트
읍이야기 - 일반현황
http://cheorwon.cwg.[...]
철원군 홈페이지
2016-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